
4.15 총선 사전투표용지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배달되었다는 증거가 나온 가운데, 우체국과 선관위의 측의 책임 공방이 벌어질 모양새다.
4.15총선의 관외사전투표용지의 우체국 등기이동 경로를 전수조사한 국투본 박주현 변호사 측에 따르면, 4.15 총선 관외사전투표용지의 우편배송기록에서 수신날짜도 없고, 배달결과도 틀리고, 접수취소도 되었다가 다시 접수되고, 경로도 엉터리고, 배달완료뒤에 도착이 되는 등 배달순서도 틀린 우편투표가 무려 958,571개 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해 우체국의 입장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우정사업본부의 경영기획실 측은 "업무가 폭주한데 따른 단순 실수"라는 입장을 전했다. 전산입력을 제때 하지 않아서 생긴 오류라는 것.
등기우편 수신자의 이름이 선관위직원이 아니라 엉뚱한 사람으로 나와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그 부분은 잘 모른다. 선관위에 확인해라" 라고 응답했다.
특히 우정사업본부 측은 우편배달부가 마지막에 수취인이 선관위 직원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선관위 측 최종 수취인이 내용물과 수량이 맞다는 것을 확인해 줬기 때문에 배달을 마친 것이라면서 단지 기록만 제때 하지 않아서 오류가 난것이며 최종 수령인이 선관위 직원이 맞는지는 선관위 측에 물어보라고 전했다.
그러나 전문가를 비롯한 대부분의 반응은 등기우편 배송에서 수신날짜가 없는 것과 경로가 엉터리인 것과 배달 시간이 틀린것 등 오류가 동시에 수십만건이 나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평가다. 거의 일어나지 않는 일이 수십만건이 하루에 일어난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라는 것.
최종 수취인이 선관위 직원이 맞는지를 확인 했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배달하는 쪽에서는 수취인이 선관위 직원인지 아닌지를 확인 할 수는 없고, 단지 내용물과 수량이 맞는지 정도를 확인하고 배송을 마친다. 일이 많기 때문에 수취인을 가족이나 친구 등으로 잘못 입력했을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라고 답했다.
그러나 가족이나 친구 이름을 최종 수취인에 적는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말이 안되며, 최종 수취인의 경우 반드시 선관위 직원의 이름을 적어야 하는데 엉뚱한 이름이나 심지어는 장난처럼 기록되어 있는 수취인명도 많다.
실제로 4.15총선의 관외사전투표 우편배송을 조회해 본 결과 "새우를", "깨었을", "히야로","개꺼" 등 도저히 대한민국 국적의 이름이라고 할 수 없는 이름이 수취인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나왔다. 심지어는 선관위 직원 명단에서 찾을 수 없는 최종 수취인을 5-6명을 한꺼번에 구글링(구글에서 검색)해 보니, 이 5-6명 전부가 선관위와는 상관없는 특정 단체의 인명부에 공통으로 속한 것이 발견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선관위가 최종 수취인의 명단을 제대로 표기하지 않은 것이 드러날 경우 부실투표 논란은 물론, 우편투표 자체가 무효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중앙선거관리법에서는 투표지의 신뢰성을 반드시 확보를 해야 된다고 나와있기 때문이다. 어떤 이유에 의해서든 투표지 등기 배송조회기록에 문제가 있을 경우 투표지의 신뢰성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관련 투표지는 재검표에서 무효처리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앙선관위는 4.15총선 전에 관외사전투표 보관장소에 대해 보안을 위해 CCTV를 설치하자는 주장에 대해 업무에 방해를 줄 수 있다는 다소 황당한 이유를 들어 묵살 한 바 있다.
한편 미국에서는 각지에서 우편투표의 부정선거가 실제로 발생해서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CNN은 8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글렌데일의 한 상가 주차장에서 한 밤중에 미국 연방 우정청(USPS) 로고가 선명한 자루들이 대량으로 버려지는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미국의 대선을 코앞에 두고 미 국무부와 NSC(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 대한민국 4.15총선 의혹과 관련한 브리핑이 이뤄졌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미국 측의 공식 반응이 나올 것인지 많은 이들의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후원하기
- 무통장입금: 국민은행 917701-01-120396 (주)메이벅스
- 정기후원 (만원/삼만원/오만원)
- 일시후원 또는 자유금액 후원
- ARS 후원하기 1877-0583
- 후원금은 CNN, 뉴욕타임즈, AP통신보다 공정하고
영향력있는 미디어가 되는데 소중히 쓰겠습니다.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