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충격 본격화…"하반기 기업 R&D 투자·채용 줄인다"
코로나19 충격 본격화…"하반기 기업 R&D 투자·채용 줄인다"
  • 편집국
    편집국
  • 승인 2020.06.08 12: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기업의 실적 부진 여파로 민간기업들이 하반기 연구개발(R&D) 투자와 인력 채용을 본격적으로 줄일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8일 지난달 22~25일 연구소를 보유한 대·중견기업 55개와 중소·벤처기업 1천166개 등 1천221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에 따른 기업 R&D 활동 실태조사'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지난 3월 1차 조사에 이어 2차로 진행된 이 조사에서 전체의 58%가 R&D를 축소할 계획이라고 답했고, 51.5%는 연구원 채용을 줄일 것이라고 했다. 이는 3월 조사와 비교해 R&D 투자 축소는 10.3%포인트, 연구원 채용 축소는 10.2% 높아진 것이다.

대·중견기업의 50.9%는 R&D투자가 계획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3월(34.4%)보다 16.5%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신규인력 채용도 49.1%가 줄 것으로 전망해 3월(36.2%)보다 12.9%포인트 높아졌다.

중소기업도 R&D 투자와 인력채용 모두 계획보다 축소하겠다는 응답이 50%를 넘었다. R&D투자를 축소할 것이라는 중소기업은 58.4%로 3월(48.2%)보다 10.2%포인트 증가했다. 연구인력 채용은 51.5%가 축소될 것이라고 답해 3월(41.6%)보다 10%포인트가량 높아졌다.

R&D투자 여력이 약화하면서 기업들은 장기 프로젝트를 축소하거나 외부 자금 수혈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34.6%는 미래를 위한 R&D를 축소하고 단기 프로젝트 중심으로 R&D를 재편하고 있고, 14.2%는 프로젝트 중단을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49.4%는 부족한 R&D자금 확보를 위해 금융기관 대출을 이용한다고 답했고, 정부 R&D사업을 활용한다는 기업도 48.9%에 달했다.

가장 시급한 정부 지원책으로 연구인력에 대한 고용유지 지원(76.5%)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정부 R&D사업의 확대(51.8%)를 꼽았다.

대·중견기업은 R&D 세지지원 확대(61.8%), 연구인력 고용유지 지원(61.8%)을 시급한 지원정책으로 꼽았고, 중소기업은 연구인력 고용유지 지원(77.2%), 정부 R&D사업 확대(52.4%)를 꼽았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되면서 코로나19가 R&D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생각은 3월보다는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R&D에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은 전체의 63.7%로 3월(79.8%)보다 16.1%포인트 줄었고, 긍정적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은 6.5%로 3월(2.4%)보다 4.1%포인트 높아졌다.

마창환 산기업 상임부회장은 "최근 기업 R&D는 정부 지원 의존도가 높아지고 단기 프로젝트 중심으로 추진되는 불황형 R&D 양상을 보인다"며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파격적인 R&D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