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이해하기 - 사회 1 : 노벨상 - 위대한 정신(2)
스웨덴 이해하기 - 사회 1 : 노벨상 - 위대한 정신(2)
  • 박재균 기자
    박재균 기자
  • 승인 2018.12.08 15: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벨 재단

1900년, 상을 집행하던 4개의 기관이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른 사설 기관인 노벨 재단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노벨 재단은 3,100만 크로나에 달하는 노벨의 자산을 관리하고 수상자를 발표하며 시상식을 주관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매년 수여하는 상금은 직전 년도의 투자 수익에 기반하고 있다. 현재 자본금은 45억 크로나(한화 약 5,600억 원)를 상회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을 감안해서 원금과 비교해도 2배 이상 불어난 금액이다.

노벨상의 부문별 상금은 약 9백만 크로나(한화 약 11억 원) 정도다. 각 상마다 3명까지 수상이 가능하고 상금은 수상자 수만큼 나누게 된다.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일명 스웨덴 한림원)는 물리학상과 화학상 수상자를, 스웨덴 중앙은행은 경제학상 수상자를 선정한다.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는 과학을 장려하고 과학의 실용화를 위해 설립한 독립 기관이다. 1739년에 세워졌으며 460명의 스웨덴인과 175명의 외국인 학자로 구성되어 있다.

스웨덴 아카데미(Swedish Academy)는 노벨 문학상 수상자를 선정한다. 1786년 설립됐고 18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롤린스카 의학 연구소의 노벨 위원회는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를 정한다. 1977년에 현재의 체제를 갖췄으며 위원회는 50명의 카롤린스카 의학 연구소 교수로 구성된다.

노르웨이 노벨 위원회는 노벨 평화상 수상자를 뽑는다. 이 위원회는 1897년 세워졌고 노르웨이 국회에서 지명한 5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사진 : 노벨상 시상식(출처:sweden.se)

문화와 과학의 연대기

1901년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부터 2018년까지 총 935명의 수상자가 나왔다. 이중 908명은 개인, 27개는 기관이었다.

1901년 : 윌리엄 코나드 뢴트겐이 X선의 발견으로 첫 번째 물리학상 수상자가 됐다.

1903년 : 마리 퀴리가 방사선에 관한 연구로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하면서 첫 여성 수상자가 됐다. 그리고 1911년에 새로운 원소인 라듐을 연구하고 분리해내면서 화학상을 수상했다.

1905년 : 오스트리아의 베르타 폰 수트너 남작부인이 독일과 오스트리아 사이의 평화유지 활동의 공로를 인정 받아 평화상의 첫 여성 수상자가 됐다. 그녀는 노벨이 평화상 부문을 제정하는데 영감을 줄 정도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었다.

1912년 : 스웨덴의 발명가이며 사업가인 구스타프 달렌이 등대기술에 대한 공헌으로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AGA 등대를 개발했는데 아세틸렌 가스를 이용한 자동 등대의 원리를 개발했다. 이 발명은 기존에 비해 90퍼센트나 가스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것이었다.

1945년 : 알렉산더 플레밍은 생리/의학상 세 명의 수상자 중 한 명이었으며 페니실린의 발견으로 인정을 받았다. 그의 발견은 20세기 전반기에만 수 백 만의 인명을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벨상의 뒷이야기

51명의 여성 수상자 - 마리 퀴리가 2회를 수상했는데, 평화상 17명, 문학상 14명, 생리/의학상 12명, 화학상 5명(퀴리 포함), 물리학상 3명(퀴리 포함), 경제학상 2명이다.

가장 나이 많은 수상자 - 아서 아스킨으로 2018년에 96세에 수상자가 됐다.

가장 나이 어린 수상자 - 말라라 유사프자이는 17세의 나이에 평화상을 수상했다.

수상 거부자 2명 - 1964년에 장 폴 사르트르와 1973년 레 두 쏘가 수상을 거부했다.

강제로 거부당한 4명 - 리차드 쿤, 아돌프 부테난트, 게르하트 도마크는 모두 독일인으로 아돌프 히틀러에 의해 수상을 금지 당했다. 나중에 상을 받을 수 있었으나 상금을받지 못했다. 보리스 파스터나크는 1958년 문학상 수상자로 처음에는 받아들였으나 나중에 소련 정부의 강요로 거부했다.(출처:sweden.se)

 

경제미디어의 새로운 패러다임, 파이낸스투데이  

 

 

 

후원하기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