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번엔 엠폭스 호들갑 떨면서 지역감염 유난히 강조"

-병명도 원숭이두창에서 엠폭스로 개명 -하수도 바이러스 감시 테스트와 맞물려 갖가지 의혹 -시민들, "질병청 신뢰 안해, 백신 안맞아"

2023-04-10     인세영

 

이번에는 엠폭스에 지역감염(국내발생 감염) 들고 나왔다 

최근 국내 6번째 엠폭스(MPOX·옛 명칭 원숭이두창) 환자가 발생했다면서 또 다시 언론이 호들갑이다. 

주요 언론들은 질병관리청의 말을 인용해서 "지난 3일 피부 발진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내국인 A씨가 7일 엠폭스로 확진됐다." 라면서 "국내 6번째 환자로, 역학조사 및 출입국 기록상 최근 3개월 이내 해외 여행력이 없어 국내 첫 지역사회 감염 사례로 추정된다." 고 보도를 쏟아냈다.  

언론의 행태만 놓고 보면, 지난 2020년 코로나19 펜데믹 당시 검증되지도 않은 백신을 마치 안전한 것처럼 호도해서 전국민에게 백신을 접종시켰던 코로나 초기와 유사하다.  

여기에 질병청은 5번 확진자, 6번 확진자 어쩌구 하는 환자 번호를 사용하는 등, 지난 2020년 초 코로나 발생 초기 국민을 공포에 떨게 했던 때와 유사한 워딩을 구사하고 있다.

물론 국민들의 반응은 아직 썰렁하다. 지나친 언론의 공포심 주입과 검증 안된 백신에 이미 한번 당해봤기 때문이다.  

질병청은 아직 이번 6번째 환자의 감염 경로를 조사 중이라면서 정보 전파에 신중한 모습이다. 감염병 환자에 대한 정보공개 원칙을 이유로 감염자가 거주하거나 방문했던 지역을 포함해 성별, 연령 등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질병청 관계자는 "현재 심층 역학조사가 진행 중으로, 내용이 정리되는 대로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운을 띄워놓고 있다.

시민들, "지역감염? 그래서 어쩌라고?" ..."질병청 말 못 믿어" 

현재 엠폭스(원숭이두창에서 개명)의 감염자는 겨우 6명이란다. 문제는 과거 코로나 공포심 주입 과정과 비슷하게 주요 언론에서 일제히 기사를 쏟아냈다는 점이다. 

시민들은 "질병청이 지역사회 감염을 강조하는 것 보니 향후 특정 지역을 봉쇄하고 전수조사 한답시고 특정지역에 PCR검사를 의무화 하거나, 백신 접종을 의무화 하면서 봉쇄하려는 명분을 만드는 '빌드업' 일 수 있다는 의심부터 하고 있다. 

또 "질병청이 백신 팔아먹으려고 또 시작이다", "코로나 백신 부작용 사망자에 대해 보상이나 해주고 떠들어라. 질병청의 말은 더 이상 신뢰가 안간다." 등 이미 바닥을 친 질병청의 신뢰성을 성토하는 댓글이 주를 이룬다. 

언론에서는 "해외에서 유입된 것이 아니라 국내에서 발생한 전염병이니까 더 무섭지 않냐?" 라는 공포심을 주입하려는 모양새다.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엠폭스, 대상포진을 비롯해서 폐암, 혈액암, 심근염, 심낭염, 심근경색 그리고 파킨스씨병, 치매, 시력약화, 허리 디스크 등의 신규 발생 및 기저질환의 악화, 암의 재발 등이 혹시 코로나 백신 부작용이 아니냐는 주장도 나오는데 이 주장도 무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모두 코로나 백신 및 각종 전자파, 공기 중 중금속 흡입 등에 의해 면역체계가 붕괴되어서 오는 질병들이기 때문이다. 

"'지역감염' 강조하는거 보니 지역봉쇄 밑밥 깔기?" 

질병청은 벌써부터 백신 얘기를 꺼내고 있다. 

질병청은 지난해 이후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발생 중인 서아프리카 계통 엠폭스는 대부분 2~4주 후 자연 치유되고 치명률은 1% 미만으로 보고된다고 밝히면서도 "백신 보급과 각국의 방역 노력으로 엠폭스 유행은 둔화세를 보이고 있으나 확진 사례는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밝혔다. 

엠폭스 관련 백신이 이미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는 점을 은연중에 알리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대상포진이 엠폭스와 증상이 비슷하며, 결국 면역이 결핍되서 나타나는 에이즈 증상과도 비슷하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증상들이 코로나 백신 접종 이후 서서히 나타나는 부작용 (면역력 감소로 인한)일 수 있다는 의혹을 감추지 않고 있다. 

지난 문재인 정부에서 질병청의 강력한 권고와 백신패스 정책에 의해 강제적으로 코로나 백신을 4-5회나 접종한 국민들은 상당수 부작용으로 신음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그러나 인과관계가 불확실하다느니 등의 이유로 전혀 백신 부작용에 대한 피해보상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런 와중에 질병청이 또 다시 엠폭스, 지역감염 운운하면서 언론사에 보도자료를 뿌리고 있으니 전혀 신뢰가 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시민들은 질병청이 갑자기 원숭이두창의 병명을 엠폭스로 바꾼 점과 지난 코로나 때와 마찬가지로 주요 언론사에서 일사분란하게 엠폭스 기사를 동시에 노출한 부분을 주목하고 있다. 

질병청의 '하수도 바이러스 감시' 도입 움직임? 

특히 최근 질병청이 코로나 재발을 감시한다면서 갑자기 변기와 생활폐수가 합쳐져 흐르는 하수관을 검사하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 하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일일이 전수조사를 하는 것 보다 동네의 하수구를 검사하여 특정 지역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는지를 보겠다는 것인데, WHO등에 각 국가 질병당국에 권고하는 모양이다. 

문제는 하수도가 원래 병균과 바이러스로 득실대는 곳인데다, 외부 사람이 이동하면서 대소변을 볼 수 있는데 특정 지역의 하수도를 검사하여 그 지역의 바이러스 감염을 잡아내겠다는 발상 자체가 무리라는 것이다.  

오히려 방역당국이 악의적 또는 실수로 인해 특정 지역을 봉쇄하거나, 특정 지역 주만들에 대해 감염병 의무 조사를 명령하는 등 국민을 멋대로 통제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다. 백신패스 상황보다 더 극심한 행정 편의적인 통제가 가능하다는 얘기다. 

하수도 감시시스템은 결국 국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지역감염" 강조에는 분명 이유가 있다  

일단 질병청은 "엠폭스는 코로나19나 독감 등 호흡기 감염병과 달리 확진자와 밀접 접촉한 경우가 아니라면 일반적인 인구에서의 전파 위험도는 상대적으로 낮다"며 "과도한 긴장이나 지나친 우려는 불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해 이후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발생 중인 서아프리카 계통 엠폭스는 대부분 2~4주 후 자연 치유되고 치명률은 1% 미만으로 보고되며, 백신 보급과 각국의 방역 노력으로 엠폭스 유행은 둔화세를 보이고 있으나 확진 사례는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 펜데믹 사태를 지내온 국민들은, 질병청이 언제 갑자기 태도를 바꿔 "엠폭스 최초의 지역감염 사례가 심각하다"라면서 지역전체를 봉쇄하고 전수조사, 백신 의무 접종 등을 권유하고 나설지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낸다.

윤 대통령과 정부는 '글로벌 카르텔'에 더이상 휘둘리지 말아야 

코로나 백신 부작용으로 피해를 입은 복수의 피해자 유족들은 "갖가지 백신에 투자한 글로벌 투자사와 백신을 많이 팔아야 이득을 보는 제약사, 중간에서 리베이트를 챙길 수 있는 각국의 정치인과 방역당국에 대해 전혀 신뢰할 수 없다" 라는 입장이다. 또한 "지역감염 강조하면서 하수도 감시 같은 황당무계한 방식으로 국민을 통제하고 속이려 든다면 정말 가만히 있지 않겠다" 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윤석열 정부가 절대로 국내외 방역당국에게 휘둘려서는 안된다고 조언하고 있다. 중국이 뒷돈을 대주던 WHO가 권위를 잃었으며, UN산하 보건기구들 역시 특정 이익집단의 이해관계에 의해 움직인다는 것이 드러난 마당에, 우리나라 정부가 지나치게 외세의 압력에 휘둘려서도 안된다는 것이다.

과거 정부의 코로나 백신 사기 의혹, 언젠가는 파헤쳐야

지난 문재인 정부에서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을 구매할 때, 다른 나라보다 1조 이상의 초과 금액을 지불한 것이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종성(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부는 2020~2021년 2억6270만회분의 코로나19 백신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문재인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해외 평균 구매 가격보다 약 24% 웃돈을 더 주고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세계 평균 구매가 대비 1조4000억원가량을 더 얹은 6조9547억원에 백신 2억6270만회분을 들여왔다는 것이다. 계약과정에서 부정이나 비리가 없었는지, 정상적인 결정에 의해 구매한 것인지 수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