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中동북공정 알면서 쉬쉬 "중국이 '한복' 인정했다더니… 사실과 다르더라"

조선일보, 중국의 한복 동북공정에 단독 보도

2022-09-25     인세영

문재인 정부는 한복에 대한 중국의 오만한 소유권 주장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취하지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월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에서 중국 내 56개 민족 중에서 조선족을 대표하는 의미로 한복을 입은 여성이 등장해 논란이 일었다.

당시 이를 TV로 지켜본 우리 국민들은 "중국이 이제는 우리 전통의상인 한복마저 자기들의 동북공정에 이용하고 있다." 라면서 반중 여론이 들끓었다.

당시 문재인 정부는 부랴부랴 "중국이 한복을 한국 것이라고 인정했다"며 진화에 나섰는데 알보고니 중국은 그러한 인정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외교부는 "중국 정부가 한복이 한국 고유 전통문화라는 사실은 변함 없을거라 했다"고 했고, 황희 당시 문체부 장관도 "중국이 한복을 한국 것이라 인정해 따지기 애매했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외교부 확인 결과 당시 중국이 보낸 입장은 우리 측 주장과는 달랐다는 것이다. 

외교부는 중국 측이 외교통로를 통해 "'중국 조선족과 한반도 양측은 복식 등 공통의 전통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한반도의 것이며 또한 중국 조선족의 것이라는 유사한 취지로 입장을 전했다"고 설명했다는 것이다. 

결국 대한민국 전통의상의 공식 명칭인 한복이라는 단어 자체를 사용하지 않고 '중국 조선족의 복식'이라는 취지의 기존 입장을 되풀이 한 셈이다.

조선일보는 "(이는) 중국 측의 입장을 문재인 정부가 여론 무마용으로 짜집기를 했다는 지적이 불가피한 대목" 이라고 전했다. 

외교부는 당시 중국의 입장과 관련하여 어떠한 공식 해명도 내놓지 않았다. 

외교부는 최근에도 한중수교 30주년 리셉션 행사에서 주한 중국대사관이 의도적으로 한글, 한자 모두 "중한수교 30주년" 이라고 중국을 먼저 표기한 결례에 대해 전혀 항의하지 못했다. 

대중 굴종외교에 외교부가 오히려 중국 입장을 대변하는 데 한 몫 거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한편 지난 문재인 정권 동안 중국대사를 지낸 장하성 전 대사는 중국에 대사로 나가 있으면서 중국 정부와 이렇다할  외교 활동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오히려 자신의 동생이 대표로 있던 디스커버리 펀드에 60억이나 투자하는 등 구설수에 올라서 경찰 조사를 받기도 했다. 

지난 6월 퇴직한 장하성 전 주중한국대사는 111억4413만원의 재산을 신고하면서 임기동안 재산이 20억 가까이 늘었다. 장 전 대사는 2017년 문재인 정부 청와대 입성 당시 93억1962만원의 재산을 신고한 바 있다. 

동북공정과 일대일로 등에 대해 민감한 국민의 반중감정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 외교부의 도덕적 해이 문제가 도마위에 오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심지어 외교부 중국 담당 부서는 중국의 의전 결례를 따지는 본지의 질문에 "상부와 논의해서 꼭 답변을 주겠다" 라고 전화를 끊고는 전혀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대한민국 외교부 직원들이 애국심이나 책임감에 있어서, 다른 국가의 외교관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는 비판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실제로 외교부에 전화를 하면 직원들이 책임 회피를 위해 전화를 이리저리 다른 부서에 떠넘기는 구태의연한 행태를 보인다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 

대한민국 외교부 내부에 심각한 명령 체계의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정황이 여러곳에서 발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