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수교 아닌 중한수교?" 대한민국 외교참사

"단순 직원 실수는 아닌 듯" "주한 중국대사관이 노골적으로 대한민국 정부 무시하는데 방관하는 외교부"

2022-08-26     인세영

한국과 중국의 수교 30주년을 기념해 대한민국 땅에서 열린 행사에서 '중한수교 30주년 기념 리셉션'이라는 문구가 내걸려 충격을 주고 있다.

원래 공식적인 행사에서 행사를 진행하는 국가의 명칭을 먼저 써주거나, 최소한 양국의 국가명을 한번씩 번갈아 가면서 앞에 써주는 것이 외교의 기본이다. 

지난 24일 오후 서울 포시즌스 포텔에선 한중 수교 3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에서는 중국의 국가명을 한자와 한글 모두 노골적으로 앞에 적었다. 이는 의전상 결례일 뿐더러, 우리나라 외교부가 이를 방치하여 모든 국민이 보는 앞에서 외교참사를 일으켰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날 행사에는 박진 외교부 장관, 정재호 주중대사, 김한규 21세기 한중교류협회장, 임채정 한중관계 미래발전위원회 위원장, 왕이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 등 한중 양국의 외교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른바 공식적인 외교의 실세들이 모인 자리였고, 당연히 외교부에서 업무를 지원하는 자리였다. 

그러나 보도자료로 배포된 이날 행사장 연단 배경에 중국어와 한국어로 '중한수교 30주년 리셉션'이라는 문구가 문제가 됐다.

한국서 열린 외교 행사 이름에서 한국이 뒤로 밀려난 것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날 행사는 서울과 북경에서 동시에 개최되었으며, 오히려 북경에서는 "한중수교 30주년" 이라고 제대로 씌어있었다. 물론 한자 표기는 '中韓建交(중한건교)'로 되어 중국의 국명을 먼저 표기했다.

전날부터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와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중한수교'가 적혀 있는 행사장 사진과 함께 "한중수교라고 적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취지의 비판이 확산되고 있다.

관련 기사 댓글란에도 '한중수교'를 지적하는 댓글과 함께 "왜 한중수교가 아닌 중한수교인가" 등 유사한 비판이 쏟아졌다.

본지는 외교부에 항의전화를 했으나 외교부 직원은 서로 책임 전가하기에 바빴고, 결국 행사 주최 측이 주한중국대사관이라는 황당한 변명을 내놓았다.

그러나 행사 주최가 중국 측이라고 해도, 우리나라에서 진행되는 외교 행사에서 공식적인 명칭을 자기 멋대로 쓰는 것에 대해 전혀 항의하지 못하고 그대로 받아들였다는 점에서 외교참사라 부를 만 하다는 것이다.

주한중국대사관 측은 지난 문재인 정권에서 2017년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렸던 한중수교 25주년 기념 만찬회장에서도 '중한수교 25주년 기념 만찬회'라는 문구가 중국어와 한국어로 내걸린 바 있다.

국민들은 행사가 열린 국가가 한국인 이상 최소한 한글로는 '한중'을 사용하도록 외교당국이 사전에 조율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외교부의 무능을 문제삼고 있다

같은 날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의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한중 수교 30주년 기념 비즈니스 포럼에서도 중국어로는 '중한, 한글로는 '한중'이 각각 사용됐다. 

또한 한국 내에서 열리는 행사에 중국어를 위에 쓰고 한글을 아래에 쓰는것도 납득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많다. 

부산일보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서 열린 한중 수교 29주년 리셉션의 경우 주최 측은 물론 행사 장소도 주한중국대사관이었으나, 행사장 배경에는 '한중 수교 29주년 경축 리셉션'이라는 문구가 한글로 적혀 있어 이번 행사와 비교되고 있다고 전했다. 

가뜩이나 지난 문재인 친중 정권에서 대한민국의 이권을 중국에 빼앗기고, 동북공정 등으로 문화침탈을 당하는 모습을 직접 목격한 우리나라 국민들은 현재 윤석열 정부의 대 중국 정책 일거수 일투족을 예의주시하는 상황이다. 

외교부 내에 친중 세력들이 오랬동안 적폐를 이루고 있다는 의혹도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기회에 대한민국 외교에 만연해 있는 친중 굴욕 외교를 걷어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있다. 

본지는 외교부에 전화를 걸어 사건 책임자 또는 담당자의 해명을 요구했으나, 외교부 대변인 및 공보실은 전화를 받지 않고, 동북 관련 부서에서는 서로 책임을 회피했다. 행사를 중국대사관에서 주관했으며, 행사장에 걸리는 플랭카드 등의 문구에 대해 대한민국 외교부에 컨펌을 받을 의무는 없다는 황당한 변명을 하기도 했다. 

중국대사관이 대한민국 정부를 우습게 여기고, 대한민국 외교부장관 및 고위급 인사가 오는 행사장에 한중을 중한으로 쓰더라도 외교부는 아무 책임이 없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번 건이 단순 실수인지, 앞으로 계속 한중이 아닌 중한으로 쓰기로 한 것인지?" 를 묻는 본지의 질문에, 외교부는 "내부적으로 고위급의 논의를 통해 답변을 주겠다" 라고 전화를 끊었으나 아직도 이렇다할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