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깡통전세, "지방 중소도시에서 수도권까지 번져"

전셋값이 매매값의 80% 이상이면 '위험신호'

2022-07-16     편집국

[편집국]이른바 '깡통전세'에 대한 문제가 지방 중소도시에서 이제 수도권까지 번지는 모양새다.

깡통전세는 집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집중되고 있는데, 이런 집들은 매매와 전세 가격이 큰 차이가 없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다 보니 집주인이 세입자 보증금을 기반으로 무리하게 집을 산 이른바 '갭투기'가 많은 곳이기도 하다.

또, 눈에 띄는 건 연립 다세대 주택 뿐 만 아니라 저가 아파트까지 이 깡통 전세가 잇따르고 있단 점인데 서울에서는 특히 전세값이 매매값의 80% 이상이면 위험 신호로 봐야 하는데, 강서, 금천 지역에서 이런 주택의 비율이 60%를 넘는 것으로 위험지역이라 볼 수가 있다.

즉, 중저가 주택이 비교적 많은 곳으로 최근 들어 수도권에서 이런 깡통전세 위험이 커지는 이유는 수도권 선호가 높아 최근 수년 사이 전세 가격이 올띾기 때문이다. 지난 3년 동안 아파트 평균 전세 가격은 서울 1억 9천, 경기 1억 4천, 인천 8천만 원 정도 상승했다.

이같이 매매가 하락국면에 접어드니 전세가율이 올라가고, 깡통전세가 생기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모든 부동산 지표들이 심상치 않은 가운데 지난달 다세대주택과 아파트 등을 모두 포함한 전국 집값은 2년 10개월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는 데 특히 올해 상반기 전국 아파트값, 0.16% 떨어졌다.

수도권은 0.47% 하락해 낙폭이 더 컸다.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도 10주 연속 하락하고 있어 사실상 거래 절벽이다.

전문가들, 이미 위험 수위에 있는 이 깡통 전세가 금리 인상에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더 심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보증금을 제대로 돌려받지 못할 우려가 있는데, 세입자들은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에 비해 너무 높지 않은 지 좀 더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더불어 그래도 걱정된다면 전세보증보험이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주택도시보증공사나 서울보증보험에서 보증료를 내고 가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