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차관 "부동산 투자 때 '돈 풀기' 끝날 가능성도 감안해야"

2020-12-08     김태호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8일 "부동산 시장 참가자들은 의사결정 시 정부 대책뿐만 아니라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전 세계적으로 나타난 완화적 거시경제정책 기조가 위기 이후 정상화될 가능성까지 감안해 냉철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차관은 이날 서울 은행회관에서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면서 "부동산 시장은 과잉 유동성 차단을 통해 심리 안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글로벌 실물경제의 회복이 당초 예상보다 지연되는 상황에서 현재 진행 중인 실물과 금융 간 괴리 현상이 자산 가치의 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시장 변동성이 언제든지 확대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중 유동성이 풍부한 상황에서 조만간 백신 보급이 본격화될 경우 국내외 경제 회복세가 뚜렷해짐에 따라 자산 가격이 동반 상승할 수 있으며 여기에 기대 심리까지 더해지면 가격 상승을 더욱 부추길 수 있어 자산시장 이상과열 가능성에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시중 유동성이 자산시장의 이상 과열을 야기하지 않도록 세심하게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