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부정선거소송, 언론은 "침묵의 카르텔", 왜?

100곳이 넘는 지역구, 전지역 비례대표 증거보전신청 인용에도 언론은 외면

2020-05-16     인세영
구멍뚫린

모든 부정선거 이슈를 음로론으로 치부하면서 무조건 덮으려는 Legacy media(전통적인 방식의 언론)에 대한 비판이 거센 가운데, 왜 이들 주요 언론사들이 역대급 이슈인 '부정선거이슈'에 대해 부정적 혹은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지난 4월15일 거행된 제21회 국회의원선거에서 사전투표에 조작이 있었다는 의혹과 정황증거가 연일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100곳이 넘는 선거구에서 투표용지 등에 대한 증거보전신청이 이뤄졌다. 여기에는 전국 모든 선거구 비례대표용지와 관련한 증거보전신청도 포함한다.

또 전직 현직 국회의원 25명도 4.15총선에 부정이 있었다고 의심을 하면서 증거보전신청에 동참하였다. 동원된 변호사만 50명 이상의 변호인단이 꾸려졌고, 증거보전신청에 참여한 유권자만 3000명 이상이라고 밝혀졌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상대로 하는 고소와 고발도 이뤄졌으며, 당선무효소송과 함께 선거자체가 무효라는 선거무효소송도 진행되고 있다. 

1960년 3월 15일 제5대 국회의원선거의 부정선거 의혹으로 촉발된 4.19 혁명 이래 60년만에 최대 규모의 부정선거 관련 소송이 될 전망이다.  분명 언론이 다뤄주기에 적절하고 중요한 이슈다. 

상황이 이런데, 국내 메이저 언론사들은 애써 음모론이나 가짜뉴스로 치부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심지어 언론사들은 아예 자신들이 나서서 의혹이 불거지는 것 자체를 진압하려 한다는 평가다.

일부 기사화 하더라도 전산조작 의혹이나 전자개표기와 투표분류기 등에 불법적인 요소가 있다는 중요한 사안에 대해서는 입을 꼭 다물고, 주변을 겉도는 반박 가능한 의혹만 주로 다룬다. 물론 언론사의 반박은 대부분 선관위의 주장을 옮겨 적은 내용이 대부분이라는 평이다. 

이에 대해 한 미디어 전문가는 "이제는 레거시 미디어의 역할이 한계가 왔다. 유튜브 채널을 포함한 멀티미디어와 SNS 미디어에 완전히 밀린데다 정부 눈치를 보고 있다." 라고 주장했다.   

복수의 언론 관계자도  "KBS, MBC, JTBC 같은 언론은 연간 적자가 수백억 이상씩 나고 있어, 정부에 기대지 않으면 살아남지 못하므로 언론의 자존심이고 뭐고 다 버린 상태" 라면서 "특히 좌파 성향을 가진 노조가 득세하고 있는 메이저 언론사에서는 더더욱 친정부 성향의 기사가 메인에 주로 올라가기 마련" 이라고 전했다. 

요즘에는 매경이나 한경, 머니투데이, 이데일리 등 경제신문 류들도 정부 입맛에 맞는 기사만 노출하다 보니까 부정선거 이슈에 대해서는 눈을 감는 분위기라는 평가다. 

부정선거 의혹과 관련 하루가 멀다하고 팩트체크를 하는 메이저 언론사들, KBS, MBC, JTBC, 노컷뉴스,YTN 등 방송사들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부정선거 의혹이 모두 가짜라면서 매일 매일 노래를 부르고 있다. 누가 시키기라도 한 것 처럼 일사분란하며, 필사적이다. 

언론에 오랜기간 종사한 또 다른 B씨에 따르면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등도 종합편성채널의 연장이슈와 맞물려 정부 당국의 눈치를 보고 있는 상황이고, 더구나 일부 보수 정치인들과의 이해관계도 물려 있어, 한 언론사 내에서도 부정선거 이슈를 다룰 것이냐 말것이냐에 대한 갈등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그래도 워낙 부정선거와 조작선거에 대한 증거가 넘쳐나고 있고, 의외로 여론이 쉽게 사그러들지 않기 때문에 최근 언론계에서도 어쩔줄 몰라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최근 드러나고 있는 증거들이 너무나 강력해서 언론사들의 이러한 필사적인 "침묵의 카르텔"이 깨지는 것은 시간 문제"라면서 "분명 기사를 써야 하는데 기사를 못쓰도록 통제되는 것이 기자 입장에서는 가장 치욕스러운 경험인데, 기자들이 참는데도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