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6개월 더 가면 부산 제조기업 67%는 한계상황

2020-05-12     편집국

코로나19 영향이 장기화한다면 부산지역 제조 기업 상당수가 한계기업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주요 제조업체 200곳을 대상으로 코로나에 따른 제조업 비상경영 현황을 조사해 12일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로 인한 현재 위기상황이 지속한다면 3개월 이상 버티기 어렵다고 응답한 기업이 34.5%에 달했다.

만일 코로나 영향이 향후 6개월 이상 지속하면 전체의 3분의 2에 달하는 67.0%가 한계기업으로 내몰릴 수 있다고 응답했다.

코로나 위기 상황이 앞으로 1년 이상 지속하더라도 감내할 수 있다는 응답은 33.0%에 그쳤다.

업종별로는 자동차부품, 석유 관련, 의복, 전자·통신장비 등의 업종에서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코로나로 인해 비상경영 대책을 시행 중이거나 검토 중인 기업은 49.0%(시행 중 39.5%, 검토 중 9.5%)였다.

비상경영 대책으로는 생산 축소가 55.4%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용 조정 16.0%, 현금 유동성 확보 14.5%, 투자축소 8.3%, 감염확산 방지 노력 5.8% 순이다.

생산 축소를 위한 세부 방안은 공장가동 축소가 28.3%로 가장 많았고 연장근무 제한 20%, 연차 독려 16.1%, 단축 근무 16.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용 조정을 선택한 기업은 구조조정이나 임금 삭감 등 고강도 대책보다는 휴직이나 채용 축소 등을 통한 고용 유지에 초점을 맞춘 곳이 많았다.

고용 조정 세부 방안으로는 휴직 유도 34.6%, 채용 취소 및 축소 28.8%, 구조 조정 23.1%, 임금 삭감 13.5%로 조사됐다.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최우선 경영전략에 대해서는 경영 손실을 만회하기 위한 생산 증대와 공급망 다변화를 가장 많이 꼽았다.

향후 경기 회복에 맞춰 생산을 증대하고 이를 위해 채용을 확대하겠다는 기업이 21.2%였고, 중국산 원부자재 수급에 큰 애로를 겪으면서 공급망 다변화를 고려 중인 기업도 20.3%로 나왔다.

이어 자동화 투자 확대 8.3%, 공장 스마트화 추진 7.1% 등 생산 혁신에 대한 비중이 높았고, 조직 혁신이나 재택근무 시스템 구축도 각각 7.9%로 나타났다.

이갑준 부산상의 상근부회장은 "글로벌 경기와 맞물려 있는 제조업의 특성상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우려가 높다"며 "제조업은 고용 안정의 버팀목인 만큼 정책 당국의 철저한 대비와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