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 "‘광주형일자리’ 파기…광주시 동참 호소"

2020-04-03     정지영 기자

[정지영 기자]국내 첫 노사민정 상생형 일자리 모델로 관심을 모았던 광주형 일자리가 노동계가 사업 참여 중단과 협약 파기를 공식 선언하면서 좌초위기에 놓였다.

정부의 ‘사회통합형 일자리 사업’의 모델이 된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한국노총의 불참 선언으로 좌초 위기를 맞자, 광주지역 시민단체들이 광주형 일자리의 노사상생 시스템을 구축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노동존중·사회연대 광주형일자리 성공을 위한 시민모임(준)은 정부·광주시·현대자동차 등에 대해 “노동계와 시민사회가 요구한 광주형 일자리 4대 원칙을 준수하는 노사 상생 시스템을 새롭게 마련해 구체적으로 실천할 것을 거듭 강력히 촉구한다”고 3일 밝혔다.

이들은 “광주형 일자리사업을 대기업 자본 논리로 끌고가는 현대자동차와 이를 나몰라라하는 정부, 대통령이 참석하는 협약식 등과 같은 보여주기식 전시행정으로만 만족하는 이용섭 시장과 광주시, 무책임한 행보로 일관한 민주당”의 책임있는 자세를 촉구했다.

지난해 법인 설립에 이어 자동차공장 착공에 들어간 광주형 일자리에 노동계는 착공식 불참에 이어 급기야 협약 파기를 선언했다.

노동계는 현대차와의 투자협약서 공개와 이른바 '노동이사제'로 대표되는 노사 상생경영 등을 줄기차게 요구해왔지만 반영된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광주시가 투자자인 현대차에 끌려다니고 있다며 강도 높게 비난했다.

이기곤 전 기아차 광주공장 노조 지회장은 "광주시민의 세금이 가장 많이 들어갔간 일반적인 기업이 아니라면서 현대차가 현대차 공장을 짓는다면 이런 요구를 할 까닭이 없다."고 지적했다.

광주시는 노동계의 요구를 적극 수용하겠다며 동참을 호소했다.

다만 노동이사제는 당초 협약에 포함된 사항이 아니라며 선을 그었다.

한편 광주형 일자리인 '광주글로벌모터스' 공장의 공정률은 8.1%이며 내년 9월 완성차 양산이 목표이다.

하지만 노사민정 상생협약을 바탕으로 예산을 지원하도록 한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에 따라 노동계 불참이 미치는 파장과 함께 전국 첫 노사민정 상생형 일자리인 광주형 일자리가 좌초 위기에 놓이면서 다른 지역의 상생형 일자리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