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UN 안보리 소집 의도 "말에서 행동으로 옮기는 걸까?"

2019-12-10     정연태 기자

[정연태 기자]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현지시각 11일, 북핵과 미사일 추가 도발을 논의할 공개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를 요청한 건 미국으로 미국 국무부는 "최근 한반도에서의 일련의 사건들과 트럼프 대통령의 안보리 상임이사국 대사들과의 오찬을 고려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그동안 미국은 유엔 안보리가 북한의 도발을 비난할 때마다 늘 뒤로 빠져있었다.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면서 지난 5월부터 유엔 안보리가 여러 차례 소집됐고, 영국과 프랑스, 독일 등 세 나라는 11월에 규탄 성명까지 냈지만, 미국은 한 번도 동참하지 않았으나 이번엔 미국이 바뀐 것.

이달 초부터 북한과 미국은 말 폭탄을 주고받아오는 과정에서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카드를 만지작거리자, 지난 3일 트럼프 대통령이 먼저 '로켓맨'이란 말을 꺼내며 "무력을 쓸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자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 곧바로 "늙다리의 망령"이라고 받아쳤다.

지난 7일 동창리에서 중대한 시험에 성공했다고 북한이 발표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것을 잃을 수 있다"고 했다. 그러자 지난해 협상의 주역 김영철과 김정은의 외교 브레인으로 알려진 리수용 등 두 명이 잇따라 나서 발언의 수위를 높여가며 트럼프를 공격했다. 

미국의 UN 안보리 요청은 북미 간 갈등이 이런 '말 대 말'에서 '행동 대 행동'으로 옮겨가는 첫걸음이라는 분석이 있다.

김동엽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미 갈등이 '말 대 말'을 지나 이제는 '행동 대 행동'으로 전환되고 있다"며 "이렇게 강 대 강으로 가다 보면 점점 긴장이 높아져 어느 한쪽이 선을 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밝혔다.

한편 유엔 안보리 공개회의의 관전 포인트는 중국과 러시아의 반응이다다.

이들 양국은 "유엔 안보리에서 과연 어떻게 나올지가 대단히 중요하다며 북한이 말한 '새로운 길'이 대외적으로 북미 대화 틀을 벗어나 중국,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국제연대 강화라고 한다면, 최근 최선희가 러시아도 다녀온 만큼 흥미로운 반응이 있을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무대에서 중국이 중재자가 될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지난주 방한 때 "북핵 문제 해결에 중국이 나서 달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요청에 '건설적 역할'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