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편결제 브랜드평판 2023년 3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네이버페이 2위 카카오페이 3위 삼성페이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에서 서비스중인 20개 간편결제 브랜드평판을 알기 위해 빅데이터 평판 분석했다. 2023년 2월 28일부터 2023년 3월 30일까지의 간편결제 브랜드에 대한 국내 소비자 빅데이터 30,318,550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평판지수를 파악했다. 지난 12월 간편결제 브랜드 빅데이터 24,412,635개와 비교하면 24.19%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간편결제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와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빅데이터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결제액 기준 국내 간편결제시장 규모는 2016년 11조7810억원에서 2020년 120조원을 돌파했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디바이스 사업자, 네이버·카카오·NHN·SK플래닛 등 플랫폼 사업자, PG사, 신세계·롯데 등 유통사들이 페이 서비스를 하고 있다. 정부에서 주도하는 제로페이도 선보이고 있다.
페이 서비스 경쟁이 치열한 이유는 결제 기능이 갖는 중요성 때문이다. 일단 한 번이라도 결제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들은 다음번에도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확률이 높다. 특히 O2O(온&오프 연계사업) 사업 확대에 있어 페이 서비스는 필수적이다. 뿐만 아니라 간편결제와 소셜 커머스 서비스에 돈을 맡기면 은행 이자보다 큰 수익을 벌 수 있는 시대를 열기도 했다.
2023년 3월 국내 간편결제 브랜드평판 순위는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삼성페이, 제로페이, 페이코, 페이팔, 토스페이, SK페이, LG페이, 스마일페이, SSG페이, 알리페이 , 우리페이, 쿠페이, 미래에셋페이, T페이, 페이나우, 케이페이, 엘페이, 원큐페이순으로 나타났다.
간편결제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네이버페이 브랜드는 참여지수 1,330,643 미디어지수 1,247,733 소통지수 2,144,275 커뮤니티지수 1,809,80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532,454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6,668,156과 비교해보면 2.04% 하락했다.
2위, 카카오페이 브랜드는 참여지수 307,028 미디어지수 1,263,879 소통지수 2,193,712 커뮤니티지수 2,322,22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086,842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5,040,665와 비교해보면 20.75% 상승했다.
3위, 삼성페이 브랜드는 참여지수 40,888 미디어지수 653,267 소통지수 1,516,090 커뮤니티지수 1,347,77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558,016으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1,978,344와 비교해보면 79.85% 상승했다.
4위, 제로페이 브랜드는 참여지수 110,391 미디어지수 229,484 소통지수 861,551 커뮤니티지수 888,67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090,095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1,785,270과 비교해보면 17.07% 상승했다.
5위, 페이코 브랜드는 참여지수 46,492 미디어지수 280,974 소통지수 651,939 커뮤니티지수 624,61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604,016으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1,843,290과 비교해보면 12.98% 하락했다.
후원하기
- 무통장입금: 국민은행 917701-01-120396 (주)메이벅스
- 정기후원 (만원/삼만원/오만원)
- 일시후원 또는 자유금액 후원
- ARS 후원하기 1877-0583
- 후원금은 CNN, 뉴욕타임즈, AP통신보다 공정하고
영향력있는 미디어가 되는데 소중히 쓰겠습니다.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