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사태에서 본 미디어의 본질.. "강력하고 신속한 규제 필요성 대두"
틱톡 사태에서 본 미디어의 본질.. "강력하고 신속한 규제 필요성 대두"
  • 인세영
    인세영
  • 승인 2023.03.25 10: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 하원 청문회에서 발언하는 추쇼우즈 틱톡 CEO
미 하원 청문회에서 발언하는 추쇼우즈 틱톡 CEO

최근 중국의 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이 미국 정부 소유 기기에서 사용이 차단되고 의회에서도 퇴출 법안이 추진되면서 조만간 틱톡 사용이 미국 전역에서 금지될 수도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그러나 역사적 전례 등을 감안해 볼 때 즉각적인 틱톡 금지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좌파 통신사 답게 로이터는 "일단 그런 조치가 표현의 자유라는 미국적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 라고 지적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20년 8월 틱톡 금지와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에 미국 내 사업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행정명령 2건에 서명했다.

그러나 틱톡 금지 관련 행정명령은 국가안보에 위협이 발생할 때 대통령이 경제제재를 가할 수 있다는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근거한 것이지만, 표현의 자유를 위한 '버먼 수정조항'에 의해 정보성 매체 등의 수출입 금지 권한은 제한된다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미 상무부에서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는 해외 특정 기술을 조사하는 기구 설립을 관장한 존 코스텔로는 "틱톡 금지는 (표현의 자유를 규정한) 수정헌법 1조에 위반될 가능성이 있다"며 "IEEPA의 버먼 수정조항은 수정헌법 1조 역할을 대신하는 것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틱톡 자산 매각과 관련된 행정명령은 국가안보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틱톡 측과 미 정부 간 협상 과정에서 교착상태에 빠져 있다.

이와 함께 미국 상·하원이 틱톡 금지 관련 새 법안을 마련하고 있으나, 각각 양원을 통과하기 위한 충분한 지지와 조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로이터는 백악관이 선호하는 상원의 관련 법안('RESTRICT Act')이 통과 가능성이 크지만, 충분한 지지표 확보와 대통령 서명까지는 최소 수개월이 걸리는 데다 바이든 대통령에게 넘어오기 전에 내용이 상당히 완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올해 중에 관련 절차가 마무리돼도 미 상무부가 관련 당국과 업무처리 검토를 시작하는데 최대 6개월, 실제로 검토를 마무리하고 조치에 들어가는데 추가로 6개월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틱톡이 무용지물 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식의 논조이다. 

틱톡은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미국 내 사용 금지 시도를 무력화한 바 있기 때문에 바이든 정권에서도 틱톡을 금지시키는 것은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미디어 관련 교수들도 한마디씩 거들었다.

컬럼비아대 '수정헌법 1조 기사 연구소'의 자밀 재퍼 이사는 "틱톡 금지를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 보호와 안보 우려를 그 방법 이외에는 해결할 수 없다는 점을 입증해야 하지만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매일 수백만 명이 사용하는 미디어 플랫폼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은 디지털 공공영역의 규제범위를 확장하는 위험한 선례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렇다면 국가의 안보에 위기를 가져오고, 청소년들의 정신 건강을 피폐하여 사회를 망가뜨리는 미디어에 대한 신속한 처벌은 할 수 없는 것인가라는 문제가 생긴다. 

미디어의 속성을 악용해서 돈을 벌거나, 특정 국가를 망가뜨리는 행위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틱톡 전에도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을 통해 알려졌다. 

실제로는 SNS 뿐이 아니라 전통적인 레거시 미디어 역시 이러한 미디어의 속성을 악용해 돈벌이를 해온 측면이 있다. 

국가가 유지되고 사회가 안정되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강력하고 신속한 미디어에 대한 규제 방식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후원하기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