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국 마스크 착용에 대한 폐 손상 관련 연구결과가 나왔다.
일회용 마스크 원료인 폴리프로필렌(PP) 성분의 나노플라스틱이 폐 손상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안전성평가연구소(KIT) 인체유해인자 흡입독성연구단과 전북대 김범석 교수 연구팀은 25일 이같이 밝혔다.
코로나 초기부터 마스크 착용 무용론과 함께 오히려 마스크 착용이 폐질환을 유발한다는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그러나 정부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와 미디어의 세뇌에 의해 전국민은 이미 3년 가까이 마스크를 장기 착용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뒤늦게 공식적으로 마스크 착용이 폐 손상을 가져온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것에 대해 국민들은 분노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방역당국은 이미 오래전에 마스크 착용에 대한 부작용과 피해를 알고 있었을 것" 이라면서 결과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없었던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시행한 문재인 정부의 방역 책임자들에게 책임을 돌리고 있다.
미세 나노플라스틱은 1㎚(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입자로 관찰·검출이 어려운 나노플라스틱은 폐기된 플라스틱이 광산화·풍화·자외선 등과 같은 물리적인 힘에 따라 미세한 입자로 변화한 것이다.
마스크의 주 원료로 쓰이며 흡입을 통해 사람의 폐에 축적되거나 폐포까지 도달해 천식·폐 섬유화 등 다양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
국내 보도에 따르면 연구팀은 실험에서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사용이 일상화된 일회용 마스크의 주원료인 PP 성분으로 된 나노플라스틱을 분석했다. 해당 나노플라스틱을 실험동물 기도에 서서히 떨어뜨려 폐 손상 여부를 관찰하는 연구를 진행한 결과, 폐에서 염증성 손상이 유발되고 호중구성(백혈구 일종) 염증 반응도 관찰됐다는 것이다.
호중구는 선천 면역의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세포로 신체를 이루는 혈액에 바이러스·세균·박테리아와 같은 외부 인자들이 침입했을 때 이를 막아준다. 이러한 호중구에 마스크 주원료인 나노 플라스틱이 염증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인간 폐암 상피세포주(A549)에 PP 나노플라스틱을 노출했을 때는 A549 세포의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됐다.
헤럴드경제는 연구팀 관계자의 말을 인용 "PP 나노플라스틱을 호흡기에 노출했을 때 폐 손상이 유발되는 구조를 실험동물과 세포주를 통해 입증했다"라고 전했다
실제로 방역당국은 마스크 착용에 대한 의무화는 시행했으면서 마스크 폐기에 대한 규정은 미비했으며 단속 역시 하지 않았다.
3년간 의무적으로 착용해온 마스크에 치명적인 폐 손상 물질이 붙어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시민들은 허탈해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마스크도 이런 식인데, 몸속에 주사한 백신은 또 얼마나 위험한 성분이 들어있었을지 생각할 수록 까마득하다." 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마스크 착용, 백신 접종 등 정부에서 시키는 대로 철저히 방역조치를 취한 대부분의 국민들은 이미 코로나에 걸린 것은 물론 그 부작용으로 고통을 받은 경우가 수도 없이 많다. 심지어 코로나 부작용이지 백신 부작용인지 알 수도 없다.
또,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폐 질환을 호소함은 물론, 유아기의 심리적 정서적 발달이 늦어지고, 성격이 반사회적으로 변하는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후원하기
- 무통장입금: 국민은행 917701-01-120396 (주)메이벅스
- 정기후원 (만원/삼만원/오만원)
- 일시후원 또는 자유금액 후원
- ARS 후원하기 1877-0583
- 후원금은 CNN, 뉴욕타임즈, AP통신보다 공정하고
영향력있는 미디어가 되는데 소중히 쓰겠습니다.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