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직 의사들 수십명은 지난해 "코로나 백신 성분에서 괴물질이 나왔다" 라면서 충분한 검증이 되기 전까지 코로나 백신 접종을 중단해 줄 것을 지난 문재인 정부에 요구한 바 있다.
이후 이영미 원장을 포함한 3861명의 국민은 대한민국 식약처를 상대로 코로나 백신의 승인 취소를 요청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했으며, 현재 재판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다음은 이영미 원장 팀이 연구한 "자가조립하는 코로나 백신 성분에 관한 보고서" 전문이다. 이 자료는 지난 9월30일 변론기일에 서울지방행정법원 재판부에 제출되었다.
연구 배경
지난 2021년 12월 10일부터 코로나백신 검경을 시작하여 지금까지 총 54 바이알을 검경한 결과 모두 미확인 이물질이 있음을 관찰하였고 이에 대한 인체내 주입시 반응을 알기 위해 단 3일간 화이자 6시료를 배양 검경분석했던 경험이 있던 바, 당시 짧은 기간임에도 배양을 거듭할수록 모양과 크기가 다양해지며 아무런 추가 배양액이나 특별한 산소나 이산화탄소의 공급 없이도 상온에서 훨씬 정교한 구조물로 생장 발전해가는 특이한 현상을 지난 기자회견들( 2021년 12월 13일, 정부청사 앞 학부모단체 기자회견장, 12월 30일과 1월 6일 각각 프레스센터)에서 긴급하게 발표한 적이 있다. 이후로 접종자의 체외배출물 배양과 실험에 전념하며 그 치료 및 해독제를 연구해 오던 중 최근 접종하는 코로나백신의 성상을 다시금 파악코자 새로이 백신을 검경하게 되면서 좀더 장기간의 배양을 통해 인체에 주입했을 경우 예상되는 반응이나 상황을 추론하고자 지난 9개월에 걸쳐 지속적으로 배양해온, 접종자의 신체로부터 족욕 등을 통해 얻게된 체외배출물 배양 경험을 살려 가장 안정적인 생리식염수( normal saline )에 4종 코로나백신 배양을 하게 된지 어느덧 1달이 경과하여 그간의 검경 관찰소견을 간략히 보고하는 바이다.
방법 및 절차
대상 백신 ; 화이자 3종 ( 성인용, 소아용, 최근 4차 접종용 )
모더나
노바백스
아스트라제네카
독감백신 (대조군 )
잔여 백신 혹은 새백신을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상온( 20 ~ 25℃ )에서 무균배양용기에서 배양
검경은 입체현미경( Stereomicroscope, Olympus )으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무균배양용기 째로
배양일 경과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4. 배양 직전 백신 검경 사진 (400X)
1) 화이자 (성인용 ); 다양한 크리스탈 결정체 및 회로 형태들, 7~100 ㎛

2) 소아용 화이자 ; 성인용보다는 이물질 개체수가 적음, 5~7㎛

3) 4차 접종용 화이자 ; 비정형 구조물 30 ㎛ (400X)

4) 모더나 ; 다양한 구슬체인 및 항아리형 구조물, 5 ~ 30 ㎛ (400x)

5. 배양일에 따른 변화 관찰 ; 배양용기에서 그대로 입체 검경 (400X)
1) 성인용 화이자 배양 10일째 ; 바닥 부분에서 각진 구조물들 형성, 3~ 100㎛

2) 소아용 화이자 배양 14일째 ; 각진 지도모양의 구조물 형성 중, 300µm × 70µm

3) 4차접종 화이자 배양 24일째 ; 다양한 각진 구조물과 결정체들, 50~300µm

4) 모더나 배양 14일째 ; 긴막대 모양의 구조물 형성, 400 µm (400X)

5) 모더나 배양 16일째 ; 다양한 모양의 결정체 및 유사 회로 구조물 형성 중, 7~10µm (400X)

* 탄소나노 합성의 묵주(Chaplet) 형태 ; 참고사진

6) 모더나 배양 30일째 ; 특이하고 정교한 인공 구조물 형성 중, 300µm X 20µm ( 400X)

7) 소아용 화이자 배양 30일째 ; 각종 각진 구조물과 막대형, 소형 구슬체인, 10~20µm (400X)

8) 화이자 4차접종 잔여분 배양 30일째 / 배양 22일째 ; 구슬체인 및 각종 회로 5~30µm

9) 모더나 배양 30일째 ; 최장 막대형 및 각진 구조물, 1000µm (400X)

10) 성인용 화이자 배양 30일째 ; 각종 각진 결정체와 구슬 체인 형성 중, 7~20 ㎛ ( 400X)

11) 모더나 배양 30일째 ;
구슬체인 및 기타 구조물 들, 10~30µm (400X)

12) 모더나 배양 30일째 ; 초대형 막대 및 각진 구조물, 1000 x 300µm (400X)

13) 소아용 화이자 배양 30일째 ; 장대 구조물 형성 중, 500µm (400X)

14) 성인용 화이자 배양 30일째 ; 올가미형과 다양한 막대형 구조물 형성 중, 30~50µm (400X)

6. 결론
1) 아스트라 제네카와 노바백스는 대조군으로 배양한 독감백신과 유사하게 원래의 부유물이 적었던 검경
소견과 일치하게 배양이 진행될수록 화이자, 모더나 등의 mRNA백신처럼 뚜렷한 형태의 변화나 자가조립하는 인공구조물 구축은 보이지 않고 있으나 이전 제출한 실험결과 - 혈구반응 및 정액반응을 통해 본 바, 세포독성( cytotoxicity)이 직접적으로 가장 심한 편이므로 검경이나 배양 소견에 특이사항 없다고 안전한 것은 결코 아님을 다시금 강조하는 바이다.
2) 건조 상태의 코로나 각종 백신의 검경 소견과 유사하게 이러한 특이한 결정체와 인공구조물들은 배양을 진행할수록 무균배양용기 안 액상 상태에서도 점점더 정교한 인공구조물 확대구축 등으로 자가조립(self-assembly) 발전해가는 변화 양상을 뚜렷이 관찰할 수 있었다.
3) 이러한 관찰 결과로 추론해 보자면 각종 전해질, 수분, 적정한 온도유지와 다소의 전자기장이 약하게라도 흐를 인체 내에 주입되어 이런 유사한 양상으로 변화해 나갈 백신의 작용을 예상해보면 접종자들의 사망 포함, 급성 중증 장애와 더불어 중장기적 후유증은 가히 상상을 초월한다고 하겠다.
4) 그러므로 이들 백신 내 이물질 성분을 규명하고 정밀 분석하는 첫절차로 현미경 검증을 조속히 시행할수 있도록 재판부는 공정하게 판단하여 진행해 주실 것을 간곡히 요청드리며 작금의 2,452명에 달하는 백신 희생자에 대한 합당한 보상대책과 수많은 중증후유증으로 고통받는 접종자들에 대한 해독과 치료방안을 하루속히 마련하고 전국가적 차원의 특단의 대책을 강구할 것을 피고등 관련기관과 책임있는 정부부처에 강력히 촉구하는 바이다.
2022년 9월 30일
코로나진실규명의사회 공동대표
코로나백신 접종중지 국민소송 원고대표
산부인과 전문의 이영미
후원하기
- 무통장입금: 국민은행 917701-01-120396 (주)메이벅스
- 정기후원 (만원/삼만원/오만원)
- 일시후원 또는 자유금액 후원
- ARS 후원하기 1877-0583
- 후원금은 CNN, 뉴욕타임즈, AP통신보다 공정하고
영향력있는 미디어가 되는데 소중히 쓰겠습니다.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