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수 기자]정부가 올해 53조3,000억 원의 초과세수가 발생을 예측한 가운데, 1분기까지 세금이 22조 원 더 걷힌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가 19일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5월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세 수입은 111조1,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2조6,000억 원 늘었다. 올해 정부가 걷기로 예상한 세입예산(343조4,000억 원)의 32.3%에 달하는 규모다.
하지만 코로나19 대응 지출이 더 크게 늘면서 나라 살림 적자 폭은 오히려 확대됐다.
경기 회복이 이어지면서 주요 세목의 세수가 모두 늘었는 데 늘은 세수는 기업실적 개선으로 올해 1분기 법인세가 전년보다 10조7,000억 원 늘었다. 같은 기간 소득세(6조7,000억 원)와 부가가치세(4조5,000억 원) 역시 확대됐다.
다만 유류세 인하 조치로 교통세 세수는 1조5,000억 원 감소했고 국세수입과 기금수입, 세외수입을 합친 총수입(170조4,000억 원)은 1년 전에 비해 18조2000억 원 증가했다.
하지만 이 같은 ‘세수 풍년’에도 오미크론 바이러스의 급격한 확산에 따른 코로나19 지출 확대로 나라 살림은 적자에 머물렀다.
![[출처=기획재정부]](/news/photo/202205/274483_174370_4746.jpg)
1분기 총지출은 203조5,000억 원으로,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33조1000억 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30조1,000억 원)보다 적자폭이 커졌다. 통합재정수지에서 4대 사회 보장성 기금을 제외해 실질적 나라 살림살이를 나타내는 관리재정수지 역시 45조5,000억 원 마이너스였다.
![[출처=기획재정부]](/news/photo/202205/274483_174371_495.jpg)
적자 재정이 계속되면서 중앙정부 채무는 1,000조 원 돌파 초읽기에 들어갔다. 지난해 말 939조1,000억 원이었던 중앙정부 채무는 3개월 만에 42조8,000억 원 급증하며 981조9,000억 원을 기록했다.
![[출처=기획재정부]](/news/photo/202205/274483_174372_5017.jpg)
정부가 쓸 돈을 마련하고자 국고채 발행을 늘린 탓에 올해 4월 기준 국고채 발행잔액(904조3,000억 원)도 사상 처음 900조 원을 넘어섰다. 1~4월 누적 국고채 발행량은 72조1,000억 원에 달한다. 발행 규모가 늘수록 국채 금리가 올라가는 특성에 따라 올해 4월 국고채 평균 조달금리(3.15%)는 지난해 평균(1.79%)보다 1.36%포인트 높아졌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올해 성장률 둔화가 예상되는 만큼 50조 원대 초과 세수를 확보하는 건 쉽지 않을 것”이라며 “코로나19 피해지원을 위해 이번 2차 추경까진 불가피했을지 몰라도 빠르게 악화하는 재정건전성을 감안하면 하반기부턴 재정 정상화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후원하기
- 무통장입금: 국민은행 917701-01-120396 (주)메이벅스
- 정기후원 (만원/삼만원/오만원)
- 일시후원 또는 자유금액 후원
- ARS 후원하기 1877-0583
- 후원금은 CNN, 뉴욕타임즈, AP통신보다 공정하고
영향력있는 미디어가 되는데 소중히 쓰겠습니다.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