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2년 5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삼성바이오로직스 2위 SK바이오사이언스 3위 셀트리온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22년 4월 17일부터 2022년 5월 17일까지의 141개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65,498,197개를 분석하여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 분석을 하였다. 지난 4월 브랜드 빅데이터 75,344,818개와 비교하면 13.07% 줄어들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와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로 분석하였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를 측정할 수 있다. 브랜드의 마케팅 시장지표 분석과 정성평가를 포함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2022년 5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SK바이오팜, 한미약품, 유한양행, 일동제약, 신풍제약, 종근당, 녹십자, 대웅제약, 대웅, 셀트리온제약, 한미사이언스, 박셀바이오, 에스티팜, 보령제약, 동국제약, HK이노엔, 유나이티드제약, 부광약품, 코미팜, JW중외제약, 대원제약,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영진약품, 일양약품, 바이넥스, 네오이뮨텍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삼성바이오로직스 ( 대표 임존종보 ) 브랜드는 참여지수 376,093 소통지수 357,049 커뮤니티지수 476,337 시장지수 10,305,95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1,515,433으로 분석되었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11,858,633과 비교하면 2.89% 하락했다.
2위, SK바이오사이언스 ( 대표 안재용 ) 브랜드는 참여지수 1,154,219 소통지수 290,013 커뮤니티지수 628,623 시장지수 1,903,36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976,216으로 분석되었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4,165,166과 비교하면 4.54% 하락했다.
3위, 셀트리온 ( 대표 기우성 ) 브랜드는 참여지수 168,625 소통지수 145,231 커뮤니티지수 144,504 시장지수 3,128,02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586,382로 분석되었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9,062,282와 비교하면 60.43% 하락했다.
4위, 셀트리온헬스케어 ( 대표 김형기 ) 브랜드는 참여지수 159,597 소통지수 185,854 커뮤니티지수 139,702 시장지수 1,750,60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235,756으로 분석되었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3,443,026과 비교하면 35.06% 하락했다.
5위, SK바이오팜 ( 대표 조정우 ) 브랜드는 참여지수 267,723 소통지수 69,006 커뮤니티지수 404,711 시장지수 1,367,60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109,044로 분석되었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2,120,894와 비교하면 0.56%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2년 5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결과, 삼성바이오로직스 ( 대표 임존종보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제약 상장기업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4월 브랜드 빅데이터 75,344,818개와 비교하면 13.07%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 소비 22.66% 하락, 브랜드 소통 11.15% 하락, 브랜드 확산 11.65% 하락, 브랜드 시장 9.75%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브랜드의 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브랜드 평판지수의 변화량을 발표하고 있다. 2022년 5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지수는 2022년 4월 17일부터 2022년 5월 17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 결과이다.
2022년 5월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한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SK바이오팜, 한미약품, 유한양행, 일동제약, 신풍제약, 종근당, 녹십자, 대웅제약, 대웅, 셀트리온제약, 한미사이언스, 박셀바이오, 에스티팜, 보령제약, 동국제약, HK이노엔, 유나이티드제약, 부광약품, 코미팜, JW중외제약, 대원제약,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영진약품, 일양약품, 바이넥스, 네오이뮨텍, 코오롱생명과학, 바이오플러스, 한올바이오파마, 삼성제약, 광동제약, 삼천당제약, 동화약품, HLB생명과학, 경남제약, 하나제약, 제일약품, 한독, 화일약품, 엔지켐생명과학, 큐라클, 이연제약, 콜마비앤에이치, 한국파마, JW신약, 동아에스티, 국전약품, 압타바이오, 경보제약, 메드팩토, 차백신연구소, 삼일제약, 이수앱지스, 종근당바이오, 삼진제약, 에이프로젠제약, 동성제약, 휴온스글로벌, 명문제약, 현대약품,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파마리서치프로덕트, 마이더스AI, 삼아제약, 휴온스, 경동제약, CMG제약, 비보존 헬스케어, 뉴트리, 신일제약, JW생명과학, 유유제약, 아이큐어, 제일바이오, 동구바이오제약, 카이노스메드, 프롬바이오, 중앙백신, 조아제약, 씨티씨바이오, 안트로젠, 내츄럴엔도텍, 국제약품, 지놈앤컴퍼니, 티움바이오, HLB제약, 바이젠셀, 녹십자웰빙, 대한뉴팜, 환인제약, 안국약품, HLB테라퓨틱스, 노바렉스, 대화제약, 퓨쳐켐, 고려제약, 진바이오텍, 휴메딕스, 위더스제약, 서울제약, KPX생명과학,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아미노로직스, 테라젠이텍스, 에이비온, 진양제약, 바이온, 에스씨엠생명과학, 팜젠사이언스, 비씨월드제약, 한국유니온제약, 에이디엠코리아, 에이치엘사이언스, 신신제약, 일성신약, 휴럼, 지엘팜텍, 옵티팜, 이글벳, 하이텍팜, 우진비앤지, 대봉엘에스, 코스맥스엔비티, 비피도, 대한약품, 알리코제약, 에스텍파마, 팜스빌, 한창바이오텍, 대성미생물, 에이프로젠H&G, 디에이치피코리아, 코스맥스비티아이, 씨케이에이치, 씨엔알리서치, 드림씨아이에스, 더블유에스아이 이다.
후원하기
- 무통장입금: 국민은행 917701-01-120396 (주)메이벅스
- 정기후원 (만원/삼만원/오만원)
- 일시후원 또는 자유금액 후원
- ARS 후원하기 1877-0583
- 후원금은 CNN, 뉴욕타임즈, AP통신보다 공정하고
영향력있는 미디어가 되는데 소중히 쓰겠습니다.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