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관위가 사전투표에서 벌어진 극도의 혼란에 사과를 한 가운데, 미숙한 사후 일처리가 논란이 되고 있다.
최악의 투표 사고가 발생한 5일 사전투표장에서, 투표를 마치지 못하고 돌아간 시민들이 당일 투표에 참가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불거졌기 때문이다.
제 20대 대선 사전투표일에 코로나 확진·자가격리 유권자를 대상으로 하는 투표가 진행된 가운데 상당수 투표소에서 ‘신분증을 낸 뒤, 줄을 서서 기다리다가 기표소에 들어가기 전에 그냥 돌아간 사람’이 다수 발생했다.
이들 중에는선관위의 치명적인 부실관리로 드러난 ‘대리 투표 방식'에 대한 불만으로 집으로 돌아간 사례가 다수 있었다. 또한 선관위의 준비 부족으로 인해 투표시간이 길어지면서 사전투표를 포기하고 당일투표를 할 생각으로 귀가한 시민들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문제는 일부 매체의 확인 결과, 이런 사람들은 5일 직접 투표용지를 수령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9일 본투표에 대부분 참여할 수 없는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조선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확진자 사전 투표장에서 신분증을 보여준 뒤, 기다리다가 투표용지를 받지 않은 상태로 귀가한 유권자’에 대해 당일 투표를 불허한다는 식의 답변을 했다고 전했다.
유권자가 일단 투표장에 도착해 신분증을 제출하면, 당사자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실내에선 그 사람의 투표용지가 발급되는 구조여서, ‘투표용지 발급 기록’은 전산에 분명하게 남은 반면, 이후 해당 유권자의 ‘투표지 수령 및 실제 투표 기록’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당일투표에서의 혼란은 더욱 극심할 것으로 보인다.
선관위 직원이나 사무원이 신분증을 제출했다가 돌려받은 시민들에게 "지금 그냥 돌아가시면 당일투표를 할 수 없다" 라고 사전 고지 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당연히 시민들은 사전투표를 포기하면 당일투표는 할 수 있을 줄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전투표 방식의 치명적인 단점이 여실히 드러난 셈이다.

실제로 지난 5일 각 ‘격리·확진자 사전투표장’에서 긴 투표 대기행렬이 생기자 선관위 측에서는 투표사무원이 대기 행렬을 돌며 투표자 신분증을 한꺼번에 걷어갔다. 그리고는 투표사무원이 기표된 투표지를 허술하게 들고 실내의 투표함으로 대신 가져가는 상황이 유권자들의 눈앞에 펼쳐지자 대기자 일부가 목소리를 높여 항의했다.
“직접 투표함에 넣게 해야지 이게 무슨 짓이냐? " 라는 항의였다. 투표사무원은 걷어갔던 신분증을 대기행렬의 모두에게 다시 돌려주면서 별다른 설명을 해주지 않았다는 것이다.
대부분은 선관위의 부실한 관리에 분노하거나 지쳐서 집으로 돌아갔다.
선관위 측은 이렇게 돌아간 시민들에게 당일 투표권을 주지 않겠다는 것이다.
만약 이들에게 당일 투표를 못하게 한다면 9일 당일 투표 현장에서 당연히 큰 혼란이 예상된다. 중도 귀가자 상당수는 자신이 투표를 할 수 없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
선관위는 일부 투표소의 부실 관리라고 주장하지만, 일부 시민단체와 일반 국민들 사이에서는 이번 혼란이 조직적인 부정선거 시도하다가 사전투표에서 적발된 사례라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선관위가 선거일 직전에 갑자기 사전투표 장에서 본인 확인 QR코드를 없앤 점과, 확진자 투표에서 신분증을 대조하는 신원확인 절차를 생략한 점도 도마위에 올라있다.
일부 시민들은 "중앙선관위가 이번 선거가 끝나기 전에 특단의 대책을 내놓지 않는 이상, 조직 자체의 존폐가 위협을 받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라고 말하고 있다. 선관위에서는 부실선거로 말하고 있으나, 부정선거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목소리도 높다.
단순히 일부 선관위 직원의 부실관리라고 말하기에는 실책의 규모가 너무 방대하고, 그 결과가 너무나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돌이킬 수 없는 역대 최악의 부실한 사전투표에 대해 선관위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후원하기
- 무통장입금: 국민은행 917701-01-120396 (주)메이벅스
- 정기후원 (만원/삼만원/오만원)
- 일시후원 또는 자유금액 후원
- ARS 후원하기 1877-0583
- 후원금은 CNN, 뉴욕타임즈, AP통신보다 공정하고
영향력있는 미디어가 되는데 소중히 쓰겠습니다.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