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코로나 대유행 시기 살인 30% 급증…사상 최대 폭 증가
미 코로나 대유행 시기 살인 30% 급증…사상 최대 폭 증가
  • 편집국
    편집국
  • 승인 2021.09.28 10: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대유행한 지난해 미국에서 살인 사건이 30% 가까이 급증했다.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27일(현지시간) 이러한 내용의 2020년 범죄 통계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뉴욕타임스(NYT) 등이 보도했다.

FBI에 따르면 지난해 살인 사건은 2만1천570건으로 2019년과 비교해 29.4% 늘었다. 이는 1960년 범죄 통계 기록을 작성한 이래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이다.

또 지난해 전체 범죄 건수는 6% 감소했으나 폭력 범죄는 127만7천696건으로 5.6% 증가했다. 폭력 범죄가 전년 대비 늘어난 것은 4년 만에 처음이다.

NYT는 "살인 사건의 현저한 증가는 코로나 대유행 시기와 일치하고 전염병 사태가 살인 사건 급증에 의심할 여지 없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며 "코로나 사태가 사람들의 경제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불안 분위기를 조성했으며 사회적 갈등과 범죄를 부채질했다"고 진단했다.

NYT는 범죄 전문가의 FBI 보고서 분석을 인용해 살인 사건이 미국 주요 도시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했다고 전했다.'

지난해 뉴멕시코주 앨버커키, 테네시주 멤피스, 위스콘신주 밀워키, 아이오와주 디모인은 살인 사건 발생 건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뉴욕과 로스앤젤레스(LA)가 전체 살인 사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 13.8%였으나 지난해에는 그 비율이 3.8%로 줄었다.

네브래스카 대학의 저스틴 닉스 범죄학 부교수는 "전반적인 범죄는 감소했으나 살인은 거의 모든 곳에서 크게 늘었다"며 "이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해럴드 메디나 앨버커키 경찰서장은 살인 급증은 "퍼펙트 스톰"이라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대유행 시기 총기 판매량이 많이 늘어난데다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에 따른 경찰 신뢰도 추락도 살인 사건 급증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지목했다.

범죄 분석가 제프 얘셔에 따르면 10년 전 총기 소지자의 살인 사건은 67%였으나 작년에는 77%로 늘었다.

또 지난해 총에 맞아 숨진 사람은 전체 살인 사건 희생자 3명 중 2명꼴이었다.

닉스 부교수는 백인 경찰의 폭력에 희생된 플로이드 사건으로 "많은 사람이 경찰을 덜 믿게 됐다"며 "경찰에 도움을 요청하거나 살인 사건에 대한 정보를 수사관에게 제공하려는 사람들의 의지도 약해졌다"고 말했다.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파이낸스투데이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사임당로 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0570 법인명 : (주)메이벅스 사업자등록번호 : 214-88-86677
  • 등록일 : 2008-05-01
  • 발행일 : 2008-05-01
  • 발행(편집)인 : 인세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인수
  • 본사긴급 연락처 : 02-583-8333 / 010-3797-3464
  • 법률고문: 유병두 변호사 (前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서울중앙지검 , 서울동부지검 부장검사)
  • 파이낸스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3 파이낸스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1@fntoday.co.kr
ND소프트 인신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