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올해 세계 경제의 국내총생산(GDP) 기준 성장률이 마이너스(-) 7.2%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I)의 '글로벌 인사이트'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충격 수준별로 올해 성장률이 -4.0%에서 최저 -7.2%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BI는 코로나19가 올해 2분기에는 통제되고 경기 부양책이 상당한 효과를 내며 하반기부터 봉쇄령이 해제되면서 빠른 속도로 경제 활동이 재개되는 낙관적인 상황에서는 세계 경제가 4.0% 위축될 것으로 내다봤다.
나라별로는 미국(-6.4%), 유로존(-8.1%), 일본(-4.0%), 독일(-5.5%), 브라질(-3.2%), 인도(-4.5%), 남아프리카공화국(-5.6%), 러시아(-5.8%) 등 대부분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중국은 올해 2.0% 플러스 성장할 것으로 점쳤다.
BI는 2가지 비관적인 상황의 시나리오도 제시했다.
우선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상황에서 코로나19가 올해 4분기에 재발해 세계가 다시 봉쇄에 들어갈 경우는 올해 성장률이 -5.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BI가 제시한 최악의 시나리오는 부양책이 효과를 내지 못하고 올해 하반기의 경기 반등도 시원치 않은 상황으로, 이 경우 올해 세계 경제의 성장률은 -7.2%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이 시나리오에서 세계 경제는 내년 말까지도 코로나19 사태 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후원하기
- 무통장입금: 국민은행 917701-01-120396 (주)메이벅스
- 정기후원 (만원/삼만원/오만원)
- 일시후원 또는 자유금액 후원
- ARS 후원하기 1877-0583
- 후원금은 CNN, 뉴욕타임즈, AP통신보다 공정하고
영향력있는 미디어가 되는데 소중히 쓰겠습니다.
Fn투데이는 여러분의 후원금을 귀하게 쓰겠습니다.